-
뉴스레터
-
정책
-
판례
-
행정해석
-
상담실
- 퇴직위로금 또는 명예(희망)퇴직금은 퇴직일 이후 며칠 내로 지급해야 하는지?2025.07.1212
- 징계처분 결과를 사내 공지하는 것이 직장 내 괴롭힘에 해당되는지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인지?2025.07.05490
- 2025년 하반기 시행 개정 주요 노동법 내용2025.07.04400
- 상품권이 임금에 해당되는 경우와 아닌 경우2025.06.28588
- 경쟁업체로 이직에 따른 전직금지가처분 신청의 적법성과 그 신청이 ‘취업방해금지’ 규정에 위반되는지?2025.06.21535
- 사실혼 관계에서 배우자가 자녀 출산 시 배우자 자녀출산휴가를 부여해야 하는지?2025.06.14850
- 연차 미사용수당 지급에 갈음 할 수 있는 적법한 연차휴가사용촉진제도 운영과 유의사항2025.06.07991
- 아리셀 참사로 본 제조업 근로자공급사업과 불법파견 문제2025.07.129
- 글로벌 선진기업들의 혁신문화 구축을 위한 핵심, 회복탄력성2025.07.127
- 새 정부에 바라는 고용노동정책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2025.07.128
- 노동조합 참여를 제약하는 산업안전보건위원회 제도 비판: 한국철도공사와 교육청 사례를 중심으로2025.07.128
- 달라지는 고용노동정책 및 제도 (2025년 2분기)2025.07.128
- 폭염시기 노동자 건강권 보호 현장활동 메뉴얼2025.07.0554
- 직장내 괴롭힘의 사업장 내 대응현황과 과제2025.07.0574
- 근로자가 주장하는 해고가 존재한다고 보기 어렵다.2025.07.125
- 구제신청기간을 도과하여 부적법하다2025.07.127
- 화물 운송계약을 체결하고 본인 소유 차량으로 일한 화물운송기사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가 아니다.2025.07.127
- 직무수행능력 부족을 사유로 직위해제 한 것은 업무상 필요성이 인정되지 않아 부당한 인사조치이다.2025.07.127
- 사용자의 일방적인 의사로 근로관계가 종료되었다고 볼 수 없으므로 해고가 존재하지 않는다.2025.07.0546
- 보직해임 및 정직의 사유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부당하다.2025.07.0543
- 근로계약서 상의 사용자와 실질적인 사용자가 다른 경우 근로자와의 관계에서 실질적으로 근로관계에 있는 사용자가 노동위원회의 부당해고등 구제신청 사2025.07.0553
-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를 운영하면서 근로자 스스로 부담하는 추가 부담금에 대한 수수료를 단체협약에 따라 사용자가 부담하는 경우 해당 이익상당액을 2025.07.126
- 사용자가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에게 매월 지급하는 활동비(특근 3일치 및 특근 1일치)와 기능직 최고 직위인 “명장”에게 지급하는 품위유지비(매월2025.07.126
- 「세법」상 인정이자로서 근로소득에 합산 과세하도록 하고 있는데, 「세법」상 인정이자가 「근로기준법」상 임금에 해당하는지2025.07.0551
- 자치단체에서 고시하는 생활임금 수준 미만으로 임금을 지급받고 있는 근로자에 대해 ‘생활임금 보전수당’을 지급할 시 보전수당의 임금성 및 통상임2025.07.0550
- A사의 담당자가 근태불량자 등의 명단을 작성하여 B사의 담당자들에게 메신저를 통해 명단을 전송하고, A사가 근태불량자 등 근로자를 관리하기 위2025.06.2897
- 3년간 보존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계약 서류 중 휴가에 관한 사항 등 일부 사항은 그 기산점을 특정하여 규정하지 아니하고 ‘완결한 날’로 규정하고2025.06.2884
- 복지포인트 및 복지포인트를 대신하여 지급하는 백화점상품권의 임금성 여부2025.06.21154
-
CUSTOMER
CENTER상담전화
고객분들께 친절한 상담을 약속드립니다.
02-2633-3633
카카오톡 플러스 친구 노무법인 두레 프랜차이즈
-
LOCATION
DURE INTRODU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