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DURE LABOR CORPORATION

기업발전의 새로운 도약

정책

삭제하시겠습니까?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댓글 내용을 남겨주세요. 최대 글자수를 초과하였습니다. 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권한이 없습니다.

일중독 성향에 따른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도 간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 작성자 : 노무법인 두레
  • 작성일 : 2021.06.05
  • 조회수 : 407


<요약>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조사 차 조사 년도 부터 차 조사 년도 를 통해 일중독 수준에 따른 15 (2012 ) 21 (2018 )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가 다수 . 진행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선행연구는 첫째 두 변수의 방향성에 대해 명확히 결론짓지 못하였 , 다는 점 둘째 횡단면 자료에 기초하여 제한된 해석을 제시한다는 점 셋째 두 변수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 , , , , 는 조절변수의 영향을 규명하지 못하였다는 점에서 한계를 갖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에서 . 조사하고 배포하는 한국노동패널조사를 토대로 잠재성장모형 을 이용하여 명 (Latent Growth Modeling) 3,094 ( 2,057 , 1,037 ) 남성 명 여성 명 표본에 대해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의 초기값 및 변화량의 관계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 두 변수 모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는 선형성이 . , 확인되었다 두 변수의 증가량 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직무만족의 초기값이 높을수록 삶의 만족의 초기값 . , 이 증가하였으며 직무만족의 변화율이 증가할수록 삶의 만족의 변화율 역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 두 변수 간의 전이현상 이 확인되었다 한편 일중독 성향에 따라 집단을 둘로 나누어 다집단 분석 (spillover) . , 을 진행한 결과 일중독 성향이 높은 집단보다 일중독 성향이 낮은 집단에서 전이현상이 더욱 강하게 나타는 ,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직무만족과 삶의 만족의 동태적인 성향을 규명하였다는 점과 함께 . , 일중독 성향에 따른 만족도 변화패턴의 차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 및 유관 분야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출처 : 한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