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URE LABOR CORPORATION
대내외 구조적 변화의 한국경제 영향 연구 - 노동력 고령화에 대응한 디지털 전환 방향을 중심으로
< 목 차 >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2. 연구의 개요
제2장 노동력 고령화 현상
1. 배경 및 현황
(1) 국제 비교
(2) 국내 산업별 현황
2. 노동력 연령 분포와 노동생산성의 관계 분석
(1) 연구 목적 및 선행연구
(2) 연구 방법 및 자료
(3) 실증분석 결과
3. 소결
제3장 디지털 전환 시대로의 진입
1. 한국의 디지털 전환 기술 현주소
(1)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디지털 기술 수준
(2) 국내 산업별 디지털 기술 활용 현황
2. 디지털 전환의 정의
(1) 선행연구
(2) 디지털 전환의 정의
3. 디지털 전환의 기업별 성과 분석
(1) 분석 방법론과 분석 자료(기업활동조사)
(2) 분석 결과
(3) 결론
4. 소결
제4장 노동력 고령화와 디지털 전환 간 관계 조명
1. 디지털 전환 현황: 고령인력 기업
(1) 실태조사 목적 및 배경
(2) 디지털 전환 도입 및 기술별 수준
(3) 디지털 전환의 효과
(4) 소결
2. 노동력 고령화와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
(1)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2) 고령인력 기업의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 현황
(3) 디지털 전환 기술 도입 결정 요인 실증분석
(4) 소결
3. 디지털 자산과 고령 근로자 간의 대체성 분석
(1) 연구 배경 및 선행연구
(2) 데이터 구성
(3) 분석 방법론
(4) 분석 결과
(5) 소론
4. 지역의 노동력 변화와 지역경제의 디지털 전환
(1) 지역경제와 디지털 전환
(2) 지역의 노동력 추이와 소득 현황
(3) 제조업과 DX 관련 서비스업
(4) 지역의 DX 관련 서비스업 환경
(5) 소결 및 시사점
제5장 디지털 전환 인력 실태와 정책 리뷰
1. 디지털 전환 인력 및 교육ㆍ훈련 실태조사
(1) 디지털 전환 인력 현황과 인력 대체 경험
(2) 디지털 전환 교육ㆍ훈련
(3) 디지털 전환 전담 인력 및 직무 전환 교육ㆍ훈련
(4) 소결
2. 노동인구 구조 변화와 관련된 디지털 전환 정책 리뷰
(1) 디지털 전환 정책의 변천
(2) 노동력 고령화와 관련된 디지털 전환 정책의 운영 현황 및 한계
(3) 소결
제6장 결론 및 정책 방향 제언
1. 요약 및 시사점
(1) 연구 결과 요약
(2) 정책 시사점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 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