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7 |
제회의 경영책임자를 공제회 이사장으로 보아야 하는지? 아니면 교육감으로 보아야 하는지?
|
노무법인 두레 |
2023.09.22 |
38 |
386 |
합작회사의 경우 경영책임자 판단
|
노무법인 두레 |
2023.09.16 |
53 |
385 |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사용시 근로계약서를 다시 작성해야 하는지?
|
노무법인 두레 |
2023.09.16 |
64 |
384 |
장애인 의무고용인원 산정 시 “근로자의 총수”에서 특정활동(E-7) 체류자격에 해당하는 외국인 근로자 수를 제외할 수 있는
|
노무법인 두레 |
2023.09.09 |
55 |
383 |
발달지연치료센터에서 발생한 치료비를 ‘질병이나 부상’에 대한 요양비로 보아 퇴직금 중간정산에 해당하는지 여부
|
노무법인 두레 |
2023.09.02 |
65 |
382 |
주관사 A사와 비주관사 B사가 공동이행방식으로 공동도급을 받아 공사를 하는 경우, 중대산업재해 발생 시 법 적용이 어떻게 되는지?
|
노무법인 두레 |
2023.08.26 |
105 |
381 |
하나의 법인이 IT, 부동산, 건설 등 3개의 사업부로 분리되어 있고 각 사업부별 대표이사가 선임되어 있는 경우, 건설본부에서 중대재해 발생
|
노무법인 두레 |
2023.08.19 |
97 |
380 |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설립된 지방공기업의 경우 「중대재해처벌법」 제2조제9호나목에 따라 지방공기업의 장만 경영책임자에 해당하는지
|
노무법인 두레 |
2023.08.12 |
101 |
379 |
공기업의 경우 공기업의 장이 경영책임자로서 안전보건관리책임자로 선임되어야 하는지
|
노무법인 두레 |
2023.08.05 |
93 |
378 |
「중대재해처벌법」제2조제2호다목에 따른 "직업성 질병자가 1년 이내에 3명 이상 발생"의 경우에 해당하는지에 관한 판단기준은?
|
노무법인 두레 |
2023.07.29 |
141 |